카테고리 없음

필리핀 마약과의 전쟁 그이후 두테르테 구속.

Mr 산미겔 2025. 3. 12. 00:23
반응형

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이 2025년 3월 11일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체포되었습니다.

이는 국제형사재판소(ICC)가 그에게 발부한 체포영장을 필리핀 당국이 집행한 결과입니다.

 

필리핀의 마약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. 두테르테 전 대통령의 ‘마약과의 전쟁’에도 불구하고, 필리핀에서 메스암페타민(현지에서 ‘샤부’라고 불림)과 같은 마약의 유통과 복용이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습니다.

필리핀 서민층의 마약 복용 실태

  1. 가난한 지역에서의 마약 사용
    • 필리핀의 빈곤 지역에서는 마약이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서민층과 노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널리 퍼져 있습니다.
    • 마약을 복용하면 노동의 고된 현실을 잊을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2. 샤부(Shabu, 메스암페타민)의 유통
    • 필리핀에서 가장 흔한 마약은 샤부(Shabu)입니다.
    • 조직 범죄 단체들이 여전히 마약 유통을 주도하며, 경찰과 일부 정치인들이 연루되었다는 의혹도 있습니다.
  3. 마약과 빈곤의 악순환
    • 마약 중독으로 인해 노동 능력을 잃고, 가족과 사회에서 고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• 많은 사람들이 마약 중독 치료를 받을 경제적 여유가 없어 계속해서 의존하게 됩니다.
  4. 두테르테 이후, 변화된 마약 정책
    •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은 두테르테식의 강경한 마약 소탕 작전을 완화하고, 재활과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.
    • 하지만 마약 조직의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 있어, 실질적인 변화가 크지 않다는 비판도 있습니다.

필리핀의 마약 문제는 단순히 단속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복합적인 사회 문제입니다. 빈곤, 교육 부족, 부패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, 마약 복용 문제도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.

 

한편, 두테르테 전 대통령의 딸인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과 현 마르코스 대통령 간의 정치적 갈등이 이번 체포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마르코스 대통령은 ICC의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으며, 이는 두테르테 부통령과의 관계 악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

 

*필리핀에서 사업장을 가지고 계시는 한인 사장님분들도 직원들의 단톡방이나 여러 행동들에서 이상 징후가 있다면 검사 키트를 구입해 정기적으로 검사하거나 바랑가이를 통해 정해진 병원에서 검사(200~400페소)를 하기를 추천 드립니다.

사소하게 생각 할수도 있지만 직원들의 실수로 인해 공들여 키운 사업장(식당.여행사)이 닫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으니 항상 조심들 하시길 바랍니다,

 

 

 

반응형